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직장인들의 가장 큰 관심사는 바로 「연말정산」입니다. 매년 돌아오지만 왠지 모르게 어렵게 느껴지는 세테크. 특히 연금저축과 IRP(개인형퇴직연금)는 세액공제 효과가 가장 강력한 상품입니다.
이 글에서는 12월 31일까지 최대 900만 원 납입으로 최대 148만 5천 원을 돌려받을 수 있는 실전 전략과, 놓치기 쉬운 ISA 전환 추가 혜택까지 완벽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딱 5분만 투자해서 여러분의 13월의 월급을 크게 불려보세요! 😊
1. 연금저축·IRP, 세액공제 한도와 최대 환급액
연금저축과 IRP를 활용한 세액공제 혜택을 극대화하는 핵심은 「연간 900만 원」 한도입니다. 연금저축 단독으로는 연간 600만 원까지 공제 혜택이 주어지며, 여기에 IRP를 추가하면 합산하여 최대 900만 원까지 한도가 확장됩니다. 이 900만 원이 바로 세액공제를 위한 「골든 한도」입니다.
- 총급여 5,500만 원 이하: 세액공제율 16.5% 적용 (최대 148만 5천 원 환급)
- 총급여 5,500만 원 초과: 세액공제율 13.2% 적용 (최대 118만 8천 원 환급)
2. 「600만 원 + 300만 원」 실전 분산 투자 전략
최대 공제 한도 900만 원을 채우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연금저축 600만 원 우선 납입, 나머지 300만 원은 IRP로 추가'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연금저축이 IRP에 비해 중도 인출 시 세금 부담이 적고, 운용 수수료 면에서도 더 유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세액공제 한도 및 환급액 (연간 납입 900만 원 기준)
| 구분 | 연간 납입 한도 | 총급여 5,500만 원 이하 (16.5%) | 총급여 5,500만 원 초과 (13.2%) |
|---|---|---|---|
| 연금저축 단독 | 600만 원 | 99만 원 | 79만 2천 원 |
| 연금저축 + IRP | 합산 900만 원 | 148만 5천 원 (최대) | 118만 8천 원 (최대) |
세액공제 혜택은 12월 31일까지 해당 계좌에 실제로 입금 완료된 금액에 대해서만 적용됩니다. 연말에 한 번에 입금해도 혜택은 동일하지만, 마감 시간을 놓치지 않도록 미리미리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추가 절세 전략: ISA 만기 자금 전환 활용
만기가 도래한 ISA(종합자산관리계좌) 자금이 있다면, 이 자금을 연금저축이나 IRP 계좌로 전환하여 추가 세액공제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 ISA 전환 추가 공제 혜택
1) 추가 공제율: 전환 금액의 10%
2) 추가 공제 한도: 최대 300만 원
→ 300만 원 전환 시, 최대 49,500원 (300만 원 × 10% × 16.5%)의 추가 환급 효과!
연금저축·IRP 세액공제 한도는 개인별로 적용됩니다. 부부가 각각 연 900만 원 한도를 최대한 활용하여 납입하면, 전체 가구의 세금 환급액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핵심 내용 요약
공제 목표는 「연 900만 원」
연금저축 600만 원 + IRP 300만 원으로 합산 한도를 채우는 것이 핵심입니다.
내 공제율 확인: 16.5% vs 13.2%
총급여 5,500만 원 이하 여부를 확인하여, 공제율이 높은 쪽으로 투자 전략을 세우세요.
12월 31일 실입금 마감
해당 연도 혜택을 받기 위한 최종 마감일입니다. ISA 전환 추가 혜택도 놓치지 마세요.
자주 묻는 질문 (FAQ)
연말정산 공제 혜택은 근로자에게 주어지는 가장 확실한 세테크 수단입니다.
오늘 알려드린 연금저축과 IRP 활용 전략을 통해 여러분의 「13월의 월급」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어보시길 바랍니다! 궁금한 점은 언제든 댓글로 남겨주세요.
.png)

